티스토리 뷰





스리랑카 쫌 불쌍. 이제 손흥민 좀 빼줬으면... 스리랑카전 손흥민 선발이군요 후반전 오늘 MBC 뉴스데스크 10시네요 역시 스리랑카 감독이 믿는 키퍼랑 다르네여 ~ 내일 축구 스리랑카전 표가 다 안 팔렸다고 하네요. 동영상) 스리랑카 전..하이라이트 손흥민 한국 VS 스리랑카`첫 골 영상 축구....좀 살살했으면 피파랭킹 202위인 스리랑카랑 하는데 손흥민이 왜 나오지? 바보같은 벤투



이치와 논리가 있는 법이다. 관건은 미래이다. 이제 수성기이다. 성숙기에 접어든다. 유능한 정부만으로는 싱가포르의 기적이 지속되기 힘들 것이다. 시민들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장착할 때이다. 국가와 민간의 공진화를 도모할 때이다. 그런 점에서 2065년 청사진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프로젝트가 "자동차 없는 사회 만들기"였다. 국가의 선도와 민간의 협력이



같은 인도 출신임에도 대접이 다른 것은 그들이 미국의 명문 대학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실력 이상으로 과대평가된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과분하게 떠받는다. 탈식민주의라는 이론조차 그 유통 경로는 철저하게 신식민주의적인 것이다. 게다가 그들을 인용하며 쓰는 학술 논문들이 한국의 탈식민화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도 심히 의심스럽다. 내 보기에는 미국에의 학문적 종속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에 그칠 뿐이기 때문이다. 재차 한국 지성계의 병폐와 적폐를 통감케 되는 것이다.





이야기 나는 몰디브에서 사진을 거의 찍지 않았다. 아니 찍지 못했다. 그 순간들이 너무 좋아서 카메라를 들어야겠다. 챙겨야겠다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간간이 아이폰으로 한 장씩 찍었지만 카메라를 준비해서 찍은 사진은 없다. (본문 사진들은 그래도 챙겨온 드론이 아까워서..) 외국인들은 어디에서나 놀 줄을 안다. 수영도 잘하고 어느 것이든 조금씩의 경험이 있어서 즐긴다. 항상 부러웠다. 몰디브에서도 스쿠버다이빙을 즐기는 외국인 그리고 스노클링 장비와 빌린 카약을 타고 스노클링 포인트까지 노를 저어가서 스노클링을 즐기고 오는것을 보면서 정말 잘 놀고 싶다면



실용주의는 싱가포르가 분열하지 않을 수 있었던 원천이기도 합니다. 싱가포르는 다인종, 다문화 국가입니다. 중국계가 75%, 말레이계 무슬림이 14%, 인도계가 10%를 차지합니다. 대영 제국이 남기고 간 산물이죠. 그러나 유럽의 키프로스, 남아시아의 스리랑카, 태평양의 피지, 남아메리카의 가이아나(Guyana) 등, 대영 제국의 식민지였던 다른 소국들과 비교해보십시오. 다인종의 통합과 조화에서 싱가포르는 단연 돋보입니다. 이 또한 철저하게 인종이 아니라 능력에 따라 대우했기 때문입니다. 이병한



좋지않다는 느낌이 드네요... 왠지 둘이 경계한다는... 저만 느끼는 건가요?? 한국:스리랑카 전입니다. 오 ~ 필승 코리아~~ 덕분에 뉴스데스크팀은 시간을 벌었네요..ㅎㅎ 물론 골키퍼 한정입니다. 오늘 경기 스리랑카 슈팅이 0회라고 좀전에 해설자가 말한것같은데..... 도로 공사현장의 그 마네킹 세워둘걸 그랬네요 오늘은 어떤 면모를 보여 주실런지... 불쌍한 스리랑카..... 함께 지켜보도록 하죠. 스리랑카랑 하는데 흥민이를 부른 건가요? 나의 몰디브 여행기 스리랑카를 약 한 달여 간 여행하던 중 만났던 동행이 스리랑카의 콜롬보





않다. 담론의 지형이 바뀌면 논쟁의 판세 또한 달라질 것이다. 나는 키쇼어 마부바니와 대화하면서 곧 '아시아적 가치 논쟁'이 재개될 것임을 예감했다. 마침 올해는 창간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세기 중국 좌/우파의 기원이 된 잡지이다. 비단 중국뿐이랴. 1915년이면 나라를 잃은 아시아 청년들이 중화민국으로 몰려들기 시작한 무렵이다. 을 읽으며 각성했던 '신청년'들이 동아시아에, 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었다.





가장 중요한 직책에 가장 뛰어난 인력을 배치한다는 원칙을 철저하게 관철시켰습니다. 우수한 인재를 일찍 발굴하여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엄격하게 훈련시키는 선발 과정을 제도화한 것입니다. 싱가포르의 관료들은 세계 최고의 인재들입니다. 그리고 그에 걸맞은 최고의 대우를 받습니다. 부정부패에 대한 유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입니다. 최고의 인재를 최상으로 대우함으로써 민간 시장이 아니라 공공 영역으로 끌어들인 것이 싱가포르가 단기간 내에 제1세계로 진입한 첩경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실력주의와





: 마부바니 선생님부터가 그 혜택을 입은 당사자 아니신가요? 드물게 인도 출신입니다. 키쇼어 : (웃음) 그렇게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병한 : 선생님뿐만이 아니라 싱가포르를 이끄는 관료들에는 유독 박사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명문 대학에서 공부한 고학력자들이 즐비한데요. 대개 국비로 유학을 마치고 싱가포르에 돌아와서 나라 일을 하는 것이죠. 아테네가 '철학자들의 공화국'였다면, 싱가포르는 '박사(Ph. D)들의 공화국'이라고 비유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키쇼어 : 글쎄요. 고학력자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죠. 그러나 그들이 곧 '학자'들(academics)은 아닙니다. 이병한 : 학자들이 아니라고요? '학자-관료(mandarin)'들 아닌가요? 키쇼어



산물임을 알아야 합니다. 거개가 신정(神政) 국가였거든요. 종교 국가에서 세속 국가로 이행하는 과제가 있었기에 국가와 거리를 둔 시민 사회의 확보가 그만큼 중요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싱가포르는 신정 국가를 경험한 적이 단 한 순간도 없어요. 중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역사적 경로에 있는 국가들에서는 '언론의 자유'라는 것도 발상과 접근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사대부'라는 존재가 그런 것 아닙니까? 비판적 지식인을 내부로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